6월 항쟁! 1987!
6월 항쟁은 1987년 6월 10일부터 29까지 전국에서 일어난 반독재, 민주화 시위를 말합니다. 1979년 12.12 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당시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 헌법 개정을 포함한 민주체제를 요구하는 민주화 운동에 대해 강경 탄압으로 일관했습니다.
그러다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 군이 치안 본부 대공수사단에 연행돼 조사받던 중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이에 대한 거리시위가 전개되었습니다. 그러나 전두환 정권은 1987년 4월 13일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무시한 채 개헌 논의를 유보하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합니다. 여기에 김영삼이 주도한 통일민주당의 창당을 방해하는 등 정치적 반대세력과 민주화를 열망하는 세력에 대한 탄압을 가중시켰습니다. 이에 학계, 문화계, 종교계 등 각계각층에서는 '군사정권 유지를 위한 호헌조치 반대성명' 등 민주시국선언을 잇따라 내놓았고, 이에 민화투쟁 열기는 고조되었습니다.
이후 5월 18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에 의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은폐, 축소 조작된 것으로 밝혀지고, 6월 9일 연세대생이었던 이한열이 시위 과정에서 머리에 박힌 최루판 파편으로 사경을 헤매게 됩니다. 이에 산발적으로 전개되던 민주화 투쟁은 야당과 재야 민주세력이 총결집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결성으로 이어져 비폭력투쟁 민주헌법 쟁취 선언, 전국민적 민주화 투쟁의 구심체가 됩니다.
이후 6월 10일 김영삼, 김대중, 박형규, 김성수, 김승훈, 금영균, 계훈제, 이돈명, 송월주, 고은, 인명진, 오충일 등이 주도한 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고문살인규탄 및 호헌철폐국민대회'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개최하여 민주항쟁의 기폭제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 같은 날인 6월 10일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대표위원이 집권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자 전두환 정권 간선제 호헌 방침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은 급격히 확산, 분출되었습니다. 이에 6월 15일까지 전개된 명동성당농성투쟁, 18일 최루탄추방대회, 26일 민주헌법쟁취대행진에 이르기까지 20여 일간 전국에서 연인원 5백여만 명이 참여하여 '직선제 개헌 민주화 촉구'를 위한 거리집회, 시위, 농성 등이 계속되었습니다.
특히 6월 26일 시위에는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 읍 지역에서 100여만 명이 참가, 6월 항쟁 중 최대 규코를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국민저항운동이 대규모로 확산되어 가자 전두환 정권은 시국수습을 위한 조치를 강구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으며, 마침내 6월 29일 노태우 민정당 대표위원의 이른바 '6.29선언'이라는 직선제 개헌 시국수습특별선이 발표됩니다. 이 선언은 '여, 야 합의에 의한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평화적 정부이양의 실현', '자유로운 출마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대통령 선거법 개정', '김대중의 사면, 복권 등을 주요 골자로 한 선언'으로, 이 선언 이후 혼미를 거듭했던 정국은 수습의 실마리를 찾기 시작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카드 고객센터 자주쓰는 메뉴 깔끔정리 (0) | 2018.06.21 |
---|---|
우유 유통기한 지난 거 활용법 (0) | 2018.06.14 |
반려동물 관리사 자격증! 지금 준비하세요 (0) | 2018.06.05 |
공백 세탁조 클리너가 핫하네요 (0) | 2018.05.24 |
유연근무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18.05.23 |